본문 바로가기

말레이시아 수어

말레이시아 수어의 손가락 철자법(Fingerspelling) – 손끝으로 말하는 알파벳의 세계

1. 들어가며

수어는 수많은 상징적인 손동작과 표정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언어다. 그런데 모든 단어를 일일이 수어로 표현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특히 고유명사, 외래어, 새로운 용어 등은 표준 수어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 쓰는 것이 바로 **손가락 철자법(Fingerspelling)**이다.

말레이시아 수어(BIM)에서도 이러한 철자법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손가락으로 알파벳을 하나하나 표현하여 단어를 ‘철자’하는 방식은, 말 그대로 손끝으로 단어를 쓰는 셈이다.
이번 글에서는 말레이시아 수어의 손가락 철자법의 구조, 사용법, 실제 활용 상황을 자세히 알아보자.

말레이시아 수어의 손가락 철자법(Fingerspelling) – 손끝으로 말하는 알파벳의 세계


2. 손가락 철자법(Fingerspelling)이란?

손가락 철자법은 알파벳 문자 하나하나에 대응하는 손 모양을 사용해 단어를 표현하는 시각적 철자법이다. 주로 수어에서 고유명사, 신조어, 외래어, 특정 개념 등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이 방법은 **“수어로 표현할 수 없는 단어를 시각적으로 철자한다”**는 개념에서 출발한다.

말레이시아 수어(BIM)에서도 이러한 손가락 철자법은 공식 수어 체계의 일부로서 자리 잡고 있다. BIM 사용자는 영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 26개의 손 모양을 기억하고 활용함으로써, 일상 대화 속에서 자유롭게 손가락 철자를 구사할 수 있다.


📌 손가락 철자법의 기본 구성

  • 알파벳 A부터 Z까지, 총 26개의 손 모양
  • 각 손 모양은 알파벳의 특징적인 형태를 시각적으로 형상화
  • 대부분 **한 손(주로 오른손)**으로 표현되며, 비지배 손은 사용하지 않음
  • 손가락의 구부림, 펼침, 모양, 위치로 각 글자를 구분

예를 들어,

  • ‘A’는 손을 쥐고 엄지를 옆으로 내는 형태
  • ‘L’은 엄지와 검지를 펴서 ‘ㄴ’ 자 모양을 만드는 방식
  • ‘T’는 엄지로 검지를 감싸는 모양

이러한 손 모양은 전 세계 많은 국가의 수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말레이시아는 미국 수어(ASL)의 철자법과 거의 유사한 형태를 채택하고 있다.


📌 왜 손가락 철자법이 필요한가?

손가락 철자법은 수어의 의미 전달 한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수어에는 수천 개의 표준 단어 동작이 있지만, 새로운 단어, 고유명사, 전문 용어가 계속 생겨나기 때문에 모든 표현이 존재할 수는 없다. 이럴 때 문자 철자처럼 단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이 필요하다.

  • 표준 수어가 없는 고유명사
    예: 사람 이름(Ali, Hana), 도시명(Kuala Lumpur), 국가명(Kazakhstan)
  • 외래어와 전문어
    예: 컴퓨터 용어(USB, Zoom), 의료 용어(Insulin, MRI)
  • 정확성을 요하는 상황
    예: 증권코드, 약품 이름, 이메일 주소 등

즉, 손가락 철자법은 수어 사용자에게 있어 '만능 키(Key)' 같은 존재로, 수어 어휘의 범위를 획기적으로 넓혀주는 도구라 할 수 있다.


📌 말레이시아 BIM에서 손가락 철자법의 역사적 맥락

말레이시아 수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언어적 영향을 받았다. 특히 1970~1980년대에 미국의 수어 교육자들이 말레이시아 농학교에 수어를 도입하면서, 미국 수어(ASL)의 손가락 철자법이 BIM에 접목되었다.

이후 말레이시아 농청사회는 이 철자법을 자체적으로 교육하고 보급하면서, 지금의 BIM 공식 철자 체계로 자리 잡게 되었다.
말레이시아 농인 공동체는 철자법을 통해 읽고 쓰는 문자 언어와 시각 언어 간의 연결 고리를 만들었고, 이는 농인 문해력(읽고 쓰는 능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손가락 철자법의 발화 방식

철자법은 단순히 “손으로 알파벳을 그린다”는 개념을 넘어서, 실제로 의사소통의 흐름 속에서 부드럽게 표현되어야 한다. 몇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다:

  1. 손 위치
    • 일반적으로 어깨 높이~턱 아래 정도에서 표현
    • 손이 너무 낮거나 높으면 가독성이 떨어짐
  2. 시선 유지
    • 청자가 손동작을 읽기 쉽게 손은 보이되 시선은 청자와 유지
  3. 연속성과 리듬
    • 철자를 ‘딱딱’ 끊어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 전체를 흐르듯이 보여주는 느낌
    • 예: “FARAH”를 표현할 때 F → A → R → A → H를 자연스럽게 연결
  4. 스페이싱(Pausing)
    • 단어 사이에는 손을 살짝 멈추거나, 손 위치를 재조정하여 구분 표시

이러한 요소들이 종합되어야만, 손가락 철자법은 ‘읽히는 언어’로서 기능할 수 있다.


📌 초보자를 위한 학습 팁

손가락 철자법은 처음엔 어렵지만, 하루에 5분씩만 알파벳 따라 하기를 반복해도 빠르게 익숙해질 수 있다. 다음은 추천하는 연습 방법이다:

  • 거울 앞 훈련: 자신의 손 모양을 시각적으로 체크
  • 이름 철자 연습: 친구들 이름, 도시 이름을 계속 철자해 보기
  • 랜덤 알파벳 뽑기 게임: 알파벳 카드 뽑고 손 모양 바로 따라 하기
  • 타자기식 속도 테스트: 타이핑 연습처럼 빠르게 손 철자 해보기

그리고 중요한 건, 정확성 > 속도다. 처음엔 천천히 정확한 손 모양을 연습하고, 익숙해지면 점차 속도를 올리자.


3. 말레이시아 수어의 손가락 철자법 특징

✅ (1) 미국식 수어(ASL)와 유사한 형태

말레이시아는 손가락 철자법에서 **미국식 수어(ASL)**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손 모양 대부분이 ASL과 동일하며, 이는 말레이시아 BIM이 ASL에서 영향을 받은 역사적 맥락과도 관련이 깊다.

✅ (2) 오른손 사용 기준(비지배손은 보조역할)

일반적으로는 오른손을 사용하는 것이 표준이며, 왼손잡이는 반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어 교재나 교육 현장에서는 오른손 기준으로 설명한다.

✅ (3) 연속 동작의 부드러움이 중요

단어를 손가락 철자법으로 표현할 때는 한 글자씩 천천히가 아니라, 흐름 있게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너무 빨라도 안 되고, 너무 느리면 의미 전달이 어렵다.

예: 이름 “Siti”를 표현할 경우
S → I → T → I 를 리듬감 있게 손으로 보여주며
시선은 항상 청자와 마주한 채, 단어 전체를 ‘쓰기’보다는 ‘흐르게 보여주는 느낌’으로 전달해야 한다.


4. 손가락 철자법이 쓰이는 대표적인 상황

손가락 철자법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 (1) 고유명사 표현

사람 이름, 도시 이름, 브랜드, 외국 단어 등은 별도의 수어 동작이 없기 때문에 철자를 써야 한다.

예:

  • "Zara" (브랜드)
  • "Melaka" (도시)
  • "Park Jisoo" (이름)

📌 (2) 특정 단어 강조나 오해 방지

비슷한 수어 동작을 가진 단어가 있을 경우, 철자법으로 정확한 단어를 보충해주기도 한다.
예: “Sakit” (아프다) 와 “Sate” (꼬치) 등은 동작이 헷갈릴 수 있어 철자 보완을 사용함.

📌 (3) 새로운 용어 또는 전문어

기술, 의료, 법률 등 특수 분야의 단어는 수어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손가락 철자법으로 표현한다.
예:

  • "Wi-Fi"
  • "Glucose"
  • "Algorithm"

📌 (4) 수어 학습 및 초보자 간 의사소통

초보 수어 학습자들은 아직 많은 수어 동작을 익히지 못했기 때문에, 기초 의사소통 단계에서 철자법이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한다. 특히 학교나 수업 현장에서 많이 쓰인다.


5. 주의해야 할 사용법과 에티켓

  • 너무 빠르게 철자하지 않기: 상대방이 글자를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음
  • 손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 얼굴 근처 또는 가슴 높이에서 동작할 것
  •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기: 수어의 흐름이 끊길 수 있음
  • 시선은 청자에게: 손만 보고 대화하는 것은 비언어적 신뢰를 떨어뜨림

또한 철자법은 수어 사용자 사이에서는 ‘응급용’, ‘보충용’ 수단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수어를 어느 정도 익힌 사람은 가능한 한 정식 수어 동작을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6. 교육 현장과 실전 활용

말레이시아 내 청각장애인 학교나 수어 통역사 교육 과정에서는 손가락 철자법 훈련이 필수로 이루어진다.
이때 주로 활용되는 훈련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알파벳 노래와 함께 손 모양 따라 하기
  • 이름 철자 게임 (이름 맞히기)
  • 지문 독해 퀴즈 (상대방이 철자한 단어를 보고 맞히기)
  • 거울 앞 연습 (자신의 손동작을 체크하며 정확성 향상)

또한 공공기관의 수어 통역사들도 손가락 철자법을 정확하고 빠르게 구사할 수 있어야 하며, 뉴스, 병원, 경찰서 등 다양한 현장에서 이 기술이 자주 사용된다.


7. 마치며 – 손가락은 또 하나의 언어

손가락 철자법은 BIM의 보조 수단이지만, 때로는 말보다 더 명확한 언어가 된다.
특히 이름이나 새로운 개념을 설명할 때, 수어와 철자법을 조화롭게 사용하는 능력은 수어 사용자에게 매우 중요한 소통 능력이다.

수어를 막 배우기 시작했다면, 알파벳 26개부터 손으로 표현하는 연습을 꾸준히 해보자. 익숙해지면 어느새 손끝이 ‘단어를 말하고 있는’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