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레이시아 수어

말레이시아 수어란? – BIM의 개요와 역사

(Bahasa Isyarat Malaysia: An Introduction to Malaysian Sign Language)

1. 들어가며

수어는 단순한 손짓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언어이며, 문화를 담아내는 소통 수단이자 정체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매개체다. 말레이시아 수어인 Bahasa Isyarat Malaysia(BIM) 역시 이러한 특성을 가진 독립적인 언어다. 이 글에서는 BIM의 개념과 언어적 특징, 그리고 역사와 사회적 역할까지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말레이시아 수어란? – BIM의 개요와 역사

2. BIM의 정의와 언어적 특징

**Bahasa Isyarat Malaysia(BIM)**는 말레이시아 청각장애인 커뮤니티가 사용하는 공식 수화 언어이다. BIM은 말레이시아 정부에 의해 2008년 공식 언어로 인정받았으며, 이는 수어의 지위 향상과 청각장애인의 권익 보장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였다.

많은 사람들이 수어를 ‘말소리 없는 손짓’ 혹은 ‘구어의 시각적 번역’이라고 오해하지만, 실제로 BIM은 말레이어(Malay language)와는 전혀 다른 독립된 언어 체계를 가진다. BIM은 고유한 어휘, 문법,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언어학적으로도 자연어(Natural Language)로 인정받는다.

✅ BIM의 주요 언어적 특징

  1. 시각-공간적 언어 (Visual-Spatial Language)
    BIM은 말소리 대신 눈으로 보고 손으로 표현하는 시각 언어다. 공간 활용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화 동작의 위치, 방향, 움직임이 의미를 결정짓는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을 왼쪽 공간에 설정해두고 그 방향으로 동작을 반복하면 특정 인물을 지칭하는 의미가 생긴다.
  2. 비수지 표현 (Non-Manual Features)
    손만으로 말하는 게 아니다. BIM에서는 얼굴 표정, 고개 움직임, 입 모양, 눈썹의 위치 등이 문법 요소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의문문을 표현할 때는 눈썹을 올리거나 고개를 살짝 젖히는 방식으로 문장의 기능이 정해진다.
  3. 동시성 (Simultaneity)
    음성 언어는 순차적으로 단어를 나열하지만, 수어는 여러 정보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손은 인물, 다른 손은 동작, 그리고 얼굴 표정은 감정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다층적인 소통이 가능하다.
  4. 생략과 압축 (Compactness)
    BIM은 의사 전달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구어보다 짧은 표현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나는 오늘 아침에 학교에 갔다"라는 문장은 BIM에서 "오늘 아침, 학교, 나, 가다"와 같이 핵심 정보만 간결하게 나열된다.
  5. 손가락 철자법 (Fingerspelling)
    고유명사, 외래어, 이름 등을 표현할 때는 알파벳을 손가락으로 철자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는 말레이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하며, BIM 학습자들이 초기에 접하게 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3. BIM의 역사와 발전 과정

말레이시아 수어는 단일한 뿌리에서 발전한 언어가 아니라, 다양한 지역 수어와 외국 수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특히 다음 세 가지 요소가 BIM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 수어(ASL)의 도입
    1960~70년대, 말레이시아의 청각장애 교육 기관에서는 미국 수어(ASL)를 기반으로 한 교육 방식이 도입되었다. 이로 인해 BIM의 어휘와 문법에는 ASL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 토착 수어의 존재
    말레이시아 각 지역, 특히 말라카(Melaka)와 사바(Sabah) 지역에서는 고유의 수어가 존재했다. 이러한 지역 수어들은 BIM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일부 요소가 흡수되었다.
  • 다민족 사회의 영향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인, 중국계, 인도계 등 다양한 민족이 함께 사는 국가다. 이로 인해 각 문화권에서 수어 사용 방식도 달랐고, 다양한 수화 체계가 혼합되며 BIM의 다층적 구조가 형성되었다.

1998년, 말레이시아 정부는 **'Kamus Bahasa Isyarat Malaysia(말레이시아 수어 사전)'**을 발간하면서 BIM의 표준화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후 청각장애인 협회, 교육부, 통역사 단체 등이 협력하여 BIM의 확산과 교육을 위한 기반을 구축했다. 현재는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에서 BIM 통역을 제공하며, 수어 사용자의 사회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4. BIM의 사회적 역할과 의의

BIM의 도입과 확산은 단순히 소통 수단의 확대를 넘어, 청각장애인의 언어권을 보장하고, 이들의 사회적 통합을 돕는 데 큰 역할을 한다.

  • 교육 분야
    BIM을 사용하는 청각장애 아동은 모국어로 수업을 받을 수 있어 학습 이해도가 높아진다. 수어로 정보를 전달받는 것은 아동의 인지 발달과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 공공 서비스
    말레이시아 정부는 점차 공공기관, 방송, 재난 안내 등에서 BIM 통역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TV 뉴스에서 수어 통역사가 함께 등장하는 사례가 증가하며, 수어 사용자들의 정보 접근성이 향상되고 있다.
  • 문화적 자긍심
    BIM은 청각장애인 커뮤니티의 문화를 반영하는 언어다. BIM 사용자는 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문화적 자긍심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소통의 차원을 넘어 **언어 권리(Linguistic Rights)**의 문제로 연결된다.

5. 결론: BIM을 이해한다는 것

Bahasa Isyarat Malaysia는 단지 '손으로 말하는 방법'이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의 삶과 정체성을 담고 있는 살아있는 언어다. BIM을 배우고 이해하는 것은 곧 말레이시아 청각장애인 공동체를 이해하는 일이기도 하다.

앞으로 이 블로그에서는 BIM의 다양한 표현, 실생활에서의 사용법, 그리고 문화적 배경까지 구체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수어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이 여정을 함께 하며 더 풍부한 시각을 얻게 되길 바란다.